독일 기독교민주연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일 기독교민주연합(CDU)은 1945년 창당된 독일의 주요 정당으로, 독일 현대사와 함께 역사를 이어왔다. 기독교민주주의를 기반으로 자유보수주의 성향을 띠며, 사회, 문화적으로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한다. 경제적으로는 사회시장경제를 지향하며, 유럽 통합을 지지한다. 1949년 서독 수립 이후 오랫동안 집권하며 독일 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콘라트 아데나워, 헬무트 콜, 앙겔라 메르켈 등 주요 정치인을 배출했다. 2021년 선거에서 부진한 결과를 기록했으나, 현재도 주요 정당으로서 독일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동독)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동독)은 2차 대전 후 소련 점령 지역에서 결성되어 초기 서독 기민련과 유사했으나 사회주의통일당의 영향으로 위성 정당화, 이후 민주화 운동 참여와 노선 전환, 자유 선거 압승을 거쳐 독일 통일에 기여했으며 통일 후 서독 기민련에 흡수 통합되었다. -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 2018년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대표 선거
2018년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대표 선거는 앙겔라 메르켈의 사퇴 발표로 인해 치러졌으며, 안네그레트 크람프카렌바우어가 프리드리히 메르츠와의 결선 투표 끝에 당 대표로 선출되었다. - 기독교 민주주의 정당 - 오스트리아 국민당
오스트리아 국민당은 1945년 창당된 기독교민주주의, 보수주의 정당으로, 1945년 총선 이후 사회민주당과 연정을 통해 주요 세력으로 자리 잡았으며, 2017년 우경화 및 당명 변경을 시도했다. - 기독교 민주주의 정당 -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CSU)은 독일 바이에른 주에서 활동하며, 기독교민주연합(CDU)의 자매 정당으로 연방 차원에서 CDU/CSU 연합 의원단을 구성하며, 바이에른 주 정부를 이끌어왔다. - 국제민주연합 - 보수당 (영국)
보수당 (영국)은 17세기 토리당에서 유래하여 1834년 로버트 필에 의해 공식 출범했으며, 자유 시장 경제와 온건 보수주의를 지향하며, 브렉시트와 경제 문제로 2024년 총선에서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다. - 국제민주연합 - 오스트레일리아 자유당
오스트레일리아 자유당은 1944년 로버트 멘지스에 의해 창당된 오스트레일리아의 주요 우파 정당으로, 다민족 이민 확대, 경제 성장 추구, 미국과의 동맹 강화 등을 주요 정책으로 삼고 있으며 피터 닷튼이 현재 당 대표를 맡고 있다.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 [정당]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
원어 명칭 | Christlich Demokratische Union Deutschlands |
약칭 | CDU |
창립일 | 1945년 6월 26일 |
본부 소재지 | 독일 베를린 클링겔회퍼슈트라세 8, 10785 |
기관지 | Union |
청년 조직 | 영 유니온 |
당원 수 | 371,986명 (2023년) |
공식 색상 | 터키옥색 (공식, 2023년 9월 이후) 검은색 (관례, 2023년 9월 이전) 오렌지색 |
![]() | |
웹사이트 |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공식 웹사이트 |
정치 성향 | |
정치적 위치 | 중도우파 |
이념 | 기독교 민주주의 보수주의 (독일식) |
지도부 | |
당 대표 | 프리드리히 메르츠 |
사무총장 | 카르스텐 린네만 |
의회 및 정부 | |
독일 연방의회 의석수 | 153석 |
주의회 의석수 | 525석 |
유럽 의회 의석수 | 23석 |
주 정부 수반 | 7명 |
국제 관계 | |
유럽 정당 | 유럽 인민당 |
국제 조직 |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국제민주연합 |
유럽 의회 그룹 | 유럽 인민당 그룹 |
기타 정보 | |
전신 정당 | 중앙당 |
2. 역사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나치 정권이 붕괴하면서 독일에는 새로운 정치 질서가 필요했다. 여러 정치 집단들이 기독교 민주주의 정당을 만들고자 했고, 이는 CDU 창당으로 이어졌다. CDU는 1945년 6월 26일 베를린과 같은 해 9월 라인란트 주와 베스트팔렌 주에서 창설되었다.[23] 창당 초기 멤버는 주로 독일 중앙당, 독일 민주당, 독일 국가인민당, 독일 인민당의 전(前) 멤버들이었다.[23] 이들 중 상당수는 나치 독재 시절 저항운동에 가담했던 인물들이었다.
바이마르 공화국의 실패를 교훈 삼아, 기독교 민주주의자들의 연합된 정당, 즉 '기독교 민주 연합'을 창설하는 것이 중요했다. 자유 보수주의의 정치적 전통에 영향을 받은 범종교적(가톨릭과 개신교) 정당이 설립되었다.[23] 그러나 CDU는 냉전 시대인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보수주의자, 전 나치 반공주의자, 나치 협력자들을 고위직으로 끌어들였다 (한스 글로브케, 테오도르 오버렌더).[23] 저명한 반 나치 당원으로는 신학자 오이겐 게르스텐마이어가 있으며, 그는 외무 위원회의 임시 의장이 되었다(1949-1969).
1949년 서독 수립 이후, CDU는 20년 동안 가장 지배적인 정당이었다. 초기에는 어떤 정당이 연합국의 지지를 받을지 불분명했으나, 미국과 영국은 SPD보다 CDU를 선호했다.[24] SPD는 더 민족주의적이었고 소련에 양보하더라도 독일 통일을 추구했으며, 콘라드 아데나워를 미국과 바티칸의 도구라고 묘사했다. 당시 서방 세력은 CDU의 온건주의, 경제적 유연성과 가치관을 공산주의에 대항하는 힘으로 여겼다.[24] CDU는 서방 연합의 재무장과 독일 통일에 대한 중립적 태도 문제로 분열되기도 했지만, 아데나워는 친서방 노선을 고수했다. 그는 SPD가 반공주의적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확신하기 전까지는 그들과의 연합을 보류했다. 당시 통일은 서방 연합으로부터 독일을 소원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통일에 대한 원칙적 반대는 개신교 신자들을 끌어들이기 힘들게 했는데, 이는 대부분의 개신교 신자들이 오데르-나이세 선 동쪽, 즉 동독 영토에서 온 피난민들이었기 때문이다.[24]
콘라드 아데나워는 1963년까지 당수 직을 맡았으며, 이후 경제장관을 역임했던 루트비히 에르하르트가 그 자리를 이어받았다.[25] FDP와의 재정 및 경제 정책 의견 불일치로 1966년 에르하르트는 강제 사임 당했다. 이후 SPD와의 대연정이 구성되었고, 쿠르트 게오르크 키징거가 총리가 되었다.
1969년 SPD은 자유민주당(FDP)과 사회자유연정을 구성하는데 성공하여, CDU는 역사상 처음으로 권력에서 밀려났다. CDU/CSU 연합은 빌리 브란트 총리의 동방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으며, 1970년 모스크바 조약과 바르샤바 조약에 대해 강력히 항의했다. 이 조약에 항의하여 7명의 연방의회 의원들이 FDP와 SPD에서 CDU로 당적을 바꾸면서 브란트는 과반수를 잃었고, 1972년 4월 CDU는 건설적 불신임 투표를 통해 집권할 기회를 얻기도 했다. 그러나 브란트는 투표에서 승리하여 집권에 성공했다.
1982년, FDP가 SPD와의 연정을 철회하면서 CDU는 다시 권력을 잡게 되었다. 헬무트 콜이 이끄는 CDU/FDP 연합은 의회에서 새 총리를 선출했고, 콜 총리는 1983년, 1986년, 1990년, 1994년 총선에서 승리하며 16년간 장기 집권했다. 콜 총리는 빌리 브란트의 동방 정책을 이어받아 독일 통일을 달성했다. 1989년 동독 정부 붕괴 이후, 콜은 미국, 프랑스, 영국 정부의 지지를 얻어 독일 재통일을 추진했다. 1990년 10월 3일, 동독 정부는 폐지되었고 동독 지역은 서독의 기본법 영토에 편입되었다. 동독 CDU는 서독 CDU와 합병되었고, 통일된 국가를 위한 선거가 치러졌다. 1990년 연방 선거에서 CDU-FDP 연립 정부는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지만, 전 동독 지역의 경기 침체와 서독의 세금 인상으로 인해 당의 인기는 하락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DU는 1994년 연방 선거에서 근소한 차이로 승리했다.
1998년 선거에서 CDU가 패배하자 헬무트 콜은 퇴직하고, 볼프강 쇼이블레가 당수직을 이어받았다. 1999년 쇼이블레의 재정 스캔들 발각으로 앙겔라 메르켈이 당수직을 맡게 되었다. 2005년, CDU/CSU-SPD 대연정 협상 결과, CDU는 장관 임명권을, SPD는 중요 내각 16석 중 8석을 차지했다. 같은 해 11월 14일, 메르켈은 독일 최초의 여성 총리로 확정되었다. 2009년 연방 투표에서 CDU/CSU의 지지도는 하락했지만, FDP의 득표율 상승으로 CDU/CSU-FDP 연합이 가능했다. 2013년 9월 22일 선거에서 CDU는 41.5%의 득표율을 달성했다.
2018년, 메르켈이 차기 대표직에 불출마 할 것을 선언함에 따라 안네그레트 크람프카렌바우어가 당선되었다. 크람프카렌바우어는 2020년 투링겐 주 정부 위기 중이던 2020년 2월 10일 당 의장직에서 사임했다. 2021년 1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여러 차례 연기되었던 당대회가 온라인으로 개최되었고, 아르민 라셰트가 당선되었다. 2021년 10월 7일, 라셰트는 총선에서 CDU가 사상 최악의 결과를 기록한 후 사임할 것이라고 밝혔다. 12월에 새로운 당대회가 소집되었고, CDU 우익 진영 소속인 프리드리히 메르츠가 당선되었다.
2. 1. 창당과 초기 (1945-1949)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나치 정권이 붕괴하면서 독일에는 새로운 정치 질서가 필요했다. 여러 정치 집단들이 기독교 민주주의 정당을 만들고자 했고, 이는 CDU 창당으로 이어졌다. CDU는 1945년 6월 26일 베를린과 같은 해 9월 라인란트 주와 베스트팔렌 주에서 창설되었다.[23] 창당 초기 멤버는 주로 독일 중앙당, 독일 민주당, 독일 국가인민당, 독일 인민당의 전(前) 멤버들이었다.[23] 이들 중 상당수는 나치 독재 시절 저항운동에 가담했던 인물들이었다.
바이마르 공화국의 실패를 교훈 삼아, 기독교 민주주의자들의 연합된 정당, 즉 '기독교 민주 연합'을 창설하는 것이 중요했다. 자유 보수주의의 정치적 전통에 영향을 받은 범종교적(가톨릭과 개신교) 정당이 설립되었다.[23]
그러나 CDU는 냉전 시대인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보수주의자, 전 나치 반공주의자, 나치 협력자들을 고위직으로 끌어들였다 (한스 글로브케, 테오도르 오버렌더).[23] 저명한 반 나치 당원으로는 신학자 오이겐 게르스텐마이어가 있으며, 그는 외무 위원회의 임시 의장이 되었다(1949-1969).
2. 2. 아데나워 시대 (1949-1963)
1949년 서독 수립 이후, CDU는 20년 동안 가장 지배적인 정당이었다. 초기에는 어떤 정당이 연합국의 지지를 받을지 불분명했으나, 미국과 영국은 SPD보다 CDU를 선호했다.[24] SPD는 더 민족주의적이었고 소련에 양보하더라도 독일 통일을 추구했으며, 콘라드 아데나워를 미국과 바티칸의 도구라고 묘사했다. 당시 서방 세력은 CDU의 온건주의, 경제적 유연성과 가치관을 공산주의에 대항하는 힘으로 여겼다.[24]CDU는 서방 연합의 재무장과 독일 통일에 대한 중립적 태도 문제로 분열되기도 했지만, 아데나워는 친서방 노선을 고수했다. 그는 SPD가 반공주의적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확신하기 전까지는 그들과의 연합을 보류했다. 당시 통일은 서방 연합으로부터 독일을 소원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통일에 대한 원칙적 반대는 개신교 신자들을 끌어들이기 힘들게 했는데, 이는 대부분의 개신교 신자들이 오데르-나이세 선 동쪽, 즉 동독 영토에서 온 피난민들이었기 때문이다.[24]
콘라드 아데나워는 1963년까지 당수 직을 맡았으며, 이후 경제장관을 역임했던 루트비히 에르하르트가 그 자리를 이어받았다.[25] FDP와의 재정 및 경제 정책 의견 불일치로 1966년 에르하르트는 강제 사임 당했다. 이후 SPD와의 대연정이 구성되었고, 쿠르트 게오르크 키징거가 총리가 되었다.
2. 3. 야당 시절과 콜 시대 (1969-1998)
1969년 사회민주당(SPD)은 자유민주당(FDP)과 사회자유연정을 구성하는데 성공하여, 기독교민주연합(CDU)은 역사상 처음으로 권력에서 밀려났다.[1] 20년간 지속되었던 CDU의 집권은 막을 내리고, SPD/FDP 연합정부에 정권을 이양하게 되었다.[2] CDU/CSU 연합은 빌리 브란트 총리의 동구권 "화해를 통한 변화"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으며, 1970년 모스크바 조약과 바르샤바 조약에 대해 강력히 항의했다.[4] 이 조약들은 독일의 옛 동부 영토에 대한 권리 포기와 오데르-나이세 선을 독일 동부 국경으로 인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기 때문이다.[4] 추방자 협회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던 CDU/CSU 연합에게 이 조약들은 받아들이기 어려운 내용이었다.[4] 이 조약에 항의하여 7명의 연방의회 의원들이 FDP와 SPD에서 CDU로 당적을 바꾸면서 브란트는 과반수를 잃었고, 1972년 4월 CDU는 건설적 불신임 투표를 통해 집권할 기회를 얻기도 했다. 그러나 모든 의원들이 예상대로 투표하지 않았고 (두 명의 CDU/CSU 의원이 동독 슈타지(Stasi)로부터 뇌물을 받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브란트는 투표에서 승리하여 집권에 성공했다.[4]1982년, FDP가 SPD와의 연정을 철회하면서 CDU는 다시 권력을 잡게 되었다.[1] 헬무트 콜이 이끄는 CDU/FDP 연합은 의회에서 새 총리를 선출했고,[3] 콜 총리는 1983년, 1986년, 1990년, 1994년 총선에서 승리하며 16년간 장기 집권했다.[3]

콜 총리는 SPD 빌리 브란트의 동방 정책을 이어받아 독일 통일을 달성했다.[3] 1989년 동독 정부의 붕괴 이후, 콜은 미국, 프랑스, 영국 정부의 지지를 얻어 독일 재통일을 추진했다.[5] 1990년 10월 3일, 동독 정부는 폐지되었고 동독 지역은 서독의 기본법 영토에 편입되었다.[5] 동독 CDU는 서독 CDU와 합병되었고, 통일된 국가를 위한 선거가 치러졌다.[5] 1990년 연방 선거에서 CDU-FDP 연립 정부는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지만, 전 동독 지역의 경기 침체와 서독의 세금 인상으로 인해 당의 인기는 하락하기 시작했다.[5] 그럼에도 불구하고 CDU는 1994년 연방 선거에서 근소한 차이로 승리했다.[5]
또한 콜 총리는 프랑스 미테랑 대통령과 함께 마스트리흐트 조약을 통해 EU 성립에 기여했다.[3] 그러나 경제적 약자 소외, 극우 민족주의 방관, 실업 및 세금 문제 등으로 인해 1994년 선거부터 지지율이 하락하기 시작하여 결국 1998년 총선에서 SPD에게 패배했다.[3] 1998년 연방 선거에서 CDU는 28.4%, CSU는 6.7%를 득표했는데, 이는 1949년 이후 두 당의 최저 득표율이었다.[6] 게르하르트 슈뢰더가 이끄는 적녹 연정이 집권하게 되었다.[6]
2. 4. 메르켈 시대 (1998-2018)
1998년 선거에서 CDU가 패배하자 헬무트 콜은 퇴직하고, 볼프강 쇼이블레가 당수직을 이어받았다. 1999년 쇼이블레의 재정 스캔들(암거래 헌금) 발각으로 앙겔라 메르켈이 당수직을 맡게 되었다.[26] 2005년, CDU/CSU-SPD 대연정 협상 결과, CDU는 장관 임명권을, SPD는 중요 내각 16석 중 8석을 차지했다.[27] 같은 해 11월 14일, 메르켈은 독일 최초의 여성 총리로 확정되었다.[28]2009년 연방 투표에서 CDU/CSU의 지지도는 하락했지만, FDP의 득표율 상승으로 CDU/CSU-FDP 연합이 가능했다. 2013년 9월 22일 선거에서 CDU는 41.5%의 득표율을 달성했다. 2014년, 메르켈은 8번 연속으로 당수에 확정되었으며, 전당대회 연설에서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우려와 러시아 견제 발언을 했다.
2018년, 메르켈이 차기 대표직에 불출마 할 것을 선언함에 따라 안네그레트 크람프카렌바우어가 당선되었다.
2. 5. 메르켈 이후 (2018-현재)
2018년, 앙겔라 메르켈이 차기 대표직에 불출마 할 것을 선언함에 따라 12월에 실시된 대표 선거에서 안네그레트 크람프카렌바우어 사무총장이 당선되었다.[38] 크람프카렌바우어는 메르켈의 이념적 계승자로 여겨졌지만, 동성 결혼 반대 등 사회 보수주의적 입장을 취했다.[39]크람프카렌바우어는 2020년 투링겐 주 정부 위기 중이던 2020년 2월 10일 당 의장직에서 사임했다. 투링겐 주 CDU는 좌파 정부 구성을 막기 위해 독일을 위한 대안(AfD)과 협력한 것으로 여겨졌는데, 이는 극우 세력과의 협력에 대한 독일의 오랜 금기를 깨는 것이었다.[43]
2021년 1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여러 차례 연기되었던 당대회가 온라인으로 개최되었고, 아르민 라셰트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총리가 대의원 투표 52.8%를 얻어 당선되었다.[45][46][47]
2021년 10월 7일, 아르민 라셰트는 총선에서 CDU가 사상 최악의 결과를 기록한 후 사임할 것이라고 밝혔다.[48] 12월에 새로운 당대회가 소집되었고, CDU 우익 진영 소속인 프리드리히 메르츠가 62.1%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다.[49] CDU 당대회는 2022년 1월 22일 공식적으로 메르츠를 새로운 당수로 선출했고, 그는 2022년 1월 31일 취임했다.[17][50]
3. 이념 및 정책
기민련은 기독교민주주의 원칙을 따르며 "인간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와 신을 향한 그들의 의무"를 강조한다.[24] 다양한 종교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비종교인도 포함된다.
기민련은 모든 인간의 존엄성, 자유, 평등을 인정하며, 당의 기본 강령에는 "기독교적 이해에 따르면 인간, 자연, 환경은 신의 창조에 의한 것이다"라고 명시되어 있다.[87][88] 인간은 신이 창조한 것을 지키는 것을 신으로부터 위임받았다고 여긴다.[89]
기민련은 유럽 연합 헌장에 명시된 신에 관한 사항을 확립하고 보장하는 데 힘쓰며, 기독교의 상징과 축일을 공공장소에서 유지하는 데 전념한다.[90][91]
헬무트 콜 총리(1982~1998) 재임 이후, 기민련은 자유 시장 경제 정책을 더 많이 채택했다. 범죄에 대한 더 강력한 처벌과 국내 대테러 작전에서 독일 연방군의 개입을 지지한다. 이민 문제에 있어서는 언어 강좌를 통한 통합을 지지하며, 이민을 더욱 통제하려 한다. 이중 국적은 예외적인 경우에만 허용되어야 한다고 본다.
기민련은 유럽 그린 딜의 기업 친화적인 적응을 지지하며, 내연기관 차량을 계속 허용하고 합성 연료 및 핵융합 연구를 촉진하고자 한다. 또한 유럽 연합 회원국이 연간 차입을 국내총생산의 3%로 제한해야 한다고 촉구한다.[53]
2005년 앙겔라 메르켈은 기독교적 견해를 명시적으로 표명하기를 꺼리면서도 당이 가치관 개념을 결코 잃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메르켈과 노르베르트 람메르트 연방의회 의장은 기민련이 “우세한 문화”를 언급하는 것이 “관용과 공존”을 의미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려고 노력했다.[24]
기민련은 자당을 유럽의 정당으로 여기며,[92] 콘라트 아데나우어와 후임 총리들을 통해 유럽 정당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유럽 연합(EU)을 지향한다.[93] 유로존 위기 심화에 따라 기독교민주연합은 새롭게 유럽 통합 방안을 제시했지만, 자매 정당인 기독교사회연합보다는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기독교민주연합의 유럽 의회 의원들은 국가 연합으로 나아가는 유럽 연합의 더 큰 발전에 힘쓰고 있다.[95] 앙겔라 메르켈 총리 하에서 기독교민주연합이 주도하는 독일 연방 공화국 정부는 2009년 이후 정부 간 협정을 강화하고 유럽 연합 회원국 이외의 국가와의 연계도 강화하고 있다. 2011년 당 대회 이후 베를린에서 기독교민주연합은 종래 주장해 온 국가 공동체의 원리와 연방 국가의 원리에 의한 정치적 연합을 추구한다는 노선에서 벗어나기로 결정했다.[96]
기민련은 독일의 대연정에서 사회민주당(SPD)과 네 번의 연방 차원 및 다수의 주 차원 정부를 구성했으며, 주 및 지방 차원의 연정에서 녹색당과도 연합했다. 기민련은 좌파당이나 독일을 위한 대안과의 연정이나 어떠한 협력도 금지하는 공식 당 대회 판결을 가지고 있다.[54] 그러나 동부 연방주에서는 지방 및 지역 차원에서 우익 극단주의 정당 AfD에 대한 관용이나 협력이 계속되고 있다.[55][56][57]
3. 1. 경제 정책
기독교 윤리, 즉 자유보수주의에 기반하여 경제적으로 우파적 성향을 띤다.[24] 독일 사회민주당의 하르츠 법안을 계승하여 복지보다는 효율적인 국가 재정 운영을 주장한다. 그러나 게르하르트 슈뢰더 시절 폐지된 일부 복지 정책을 부활시키기도 하였고, 무조건적인 기업 중심이 아닌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경제를 주장한다. 최저임금제를 도입하여 저임금 노동자들이 실제로 받는 임금인 실질임금이 오르게 함으로써 단시간 노동이 줄어들게 하고, 소비를 촉진하였다.[24] 본래 독일 등 북유럽 국가들은 노동조합과 사용자가 임금 등의 노동조건을 공동결정하지만, 노동조합의 영향력이 줄어들면서 최저임금제를 도입하여 임금의 최저기준을 정한 것이다.[24]3. 2. 사회 및 문화 정책
기독교민주주의 원칙을 따르며, "인간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와 신을 향한 그들의 의무"를 강조한다. 기독교 윤리에 기반한 정책을 펼치며, 다양한 종교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사회, 문화적으로 보수주의적 성향을 띠며, 동성결혼과 마리화나 합법화에 반대한다.[24]베를린 자유대학교의 2005년 연구에 따르면, 기독교민주연합 당원의 51%는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 33.3%는 복음주의 교회 신자, 나머지 15.7%는 특정 종교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기독교 교파 신자들과 비기독교인들에게 개방되어 있지만, 로마 가톨릭교회의 영향을 받은 중앙당의 후계 정당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당내에서는 교회 조직이나 사회 정책에서 교회와 다른 입장을 보이기도 하며, 생물 공학이나 게놈 연구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당내 가톨릭 신자들의 모임인 '기독교민주연합과 기독교사회연합에 있는 가톨릭 신자들의 작업 공동체'(2009년 설립)와 복음주의 신자들의 모임인 '복음주의 작업부회'(1952년 설립)가 활동하고 있다.
3. 3. 외교 및 난민 정책
기민련은 유럽통합주의에 동의하며, 독일로 들어오는 난민을 윤리적 문제로 받아들이지만 그 수에는 한계가 있다고 주장한다.[24] 자민당을 가장 선호하는 연정 파트너로 삼지만, 독일 사회민주당의 우경화와 기민련의 좌경화로 인해 최근에는 자민당보다 사민당을 더 많이 연정 파트너로 삼고 있다. 동맹 90/녹색당도 주요 연정 파트너 후보로 고려한다. 독일을 위한 대안, 좌파당과는 연정할 생각이 없으며, 사이도 매우 나쁘다.[54]외교 정책 면에서는 유럽 통합과 강력한 독일-미국 관계를 중시한다. 유럽 연합에서 터키의 가입에 반대하며, 특혜 관계를 선호한다. 기민련은 터키가 키프로스를 독립 주권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 것이 유럽 연합 정책에 위배된다고 비판하며, 여러 인권 침해 문제도 지적한다.[53]

특히 미국과의 건전한 관계 유지를 위해 노력하며, 이라크 전쟁 당시 사회민주당(SPD)과 연방 90/녹색당 연립 정부의 반미 성향을 비난했다. 에드문트 슈토이베르는 파리-베를린-모스크바-베이징으로 이어지는 불안정한 동맹 관계는 서방 동맹을 대체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독일은 미국을 세계의 평화와 자유의 증인으로 필요로 한다고 강조했다. 터키의 EU 완전 가입은 시기상조라고 보며, 완전 가입 대신 특별 대우를 제공하는 협력 관계 구축을 지지한다. 터키의 인권 침해와 1915년 아르메니아 대량 학살 행위 부인을 비판하며, 키프로스를 독립국으로 인정하는 것을 EU 가입의 기본 전제 조건으로 제시한다.
기민련은 자당을 유럽의 정당으로 자부하며,[92] 콘라트 아데나우어와 후임 총리들을 통해 유럽 정당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유럽 연합(EU)을 지향한다.[93]
4. 당 구성
2년마다 열리는 연방 전당대회(Bundesparteitag)와 “작은정당대회”라 불리는 연방 당위원회(Bundesausschuss)는 각각 당 수석, 차석기관이다. 당 의장단(Präsidium)은 당 최고지도부 역할을 하며 결의한 사항을 이행하는 연방집행부(Bundesvorstand)와 당 사법기관인 당심판원(Parteigericht)이 있다. 독일 내 17개 주와 그 이하 337개 지역 등에 당 조직이 분포되어 있고 당원은 약 47만 명이다(2013년 8월 기준).[106]
5. 선거 결과
다음은 독일 기독교민주연합의 주요 선거 결과이다.
'''독일 연방의회 선거'''
선거 | 대표 | 소선거구 | 정당비례 | 의석 | +/– | 집권 여부 | ||
---|---|---|---|---|---|---|---|---|
득표 | % | 득표 | % | |||||
1949 | 콘라트 아데나워 | colspan="2" bgcolor="lightgrey"| | 5,978,636 | 25.2 (#1) | bgcolor="lightgrey"| | CSU–FDP–DP | ||
1953 | 9,577,659 | 34.8 (#1) | 10,016,594 | 36.4 (#1) | 82 | CSU–FDP–DP | ||
1957 | 11,975,400 | 39.7 (#1) | 11,875,339 | 39.7 (#1) | 25 | CSU–DP | ||
1961 | 11,622,995 | 36.3 (#2) | 11,283,901 | 35.8 (#2) | 21 | CSU–FDP | ||
1965 | 12,631,319 | 38.9 (#2) | 12,387,562 | 38.0 (#2) | rowspan=2| | 1 | CSU–FDP | |
CSU–SPD | ||||||||
1969 | 쿠르트 게오르크 키징거 | 12,137,148 | 37.1 (#2) | 12,079,535 | 36.6 (#2) | 1 | 야당 | |
1972 | 라이너 바르첼 | 13,304,813 | 35.7 (#2) | 13,190,837 | 35.2 (#2) | 15 | 야당 | |
1976 | 헬무트 콜 | 14,423,157 | 38.3 (#2) | 14,367,302 | 38.0 (#2) | 15 | 야당 | |
1980 | 13,467,207 | 35.6 (#2) | 12,989,200 | 34.2 (#2) | rowspan=2| | 16 | 야당 | |
CSU–FDP | ||||||||
1983 | 15,943,460 | 41.0 (#1) | 14,857,680 | 38.1 (#2) | 17 | CSU–FDP | ||
1987 | 14,168,527 | 37.5 (#2) | 13,045,745 | 34.4 (#2) | 17 | CSU–FDP | ||
1990 | 17,707,574 | 38.3 (#1) | 17,055,116 | 36.7 (#1) | 83 | CSU–FDP | ||
1994 | 17,473,325 | 37.2 (#2) | 16,089,960 | 34.2 (#2) | 24 | CSU–FDP | ||
1998 | 15,854,215 | 32.2 (#2) | 14,004,908 | 28.4 (#2) | 46 | 야당 | ||
2002 | 앙겔라 메르켈 | 15,336,512 | 32.1 (#2) | 14,167,561 | 29.5 (#2) | 8 | 야당 | |
2005 | 15,390,950 | 32.6 (#2) | 13,136,740 | 27.8 (#2) | 10 | CSU–SPD | ||
2009 | 13,856,674 | 32.0 (#1) | 11,828,277 | 27.3 (#1) | 14 | CSU–FDP | ||
2013 | 16,233,642 | 37.2 (#1) | 14,921,877 | 34.1 (#1) | 61 | CSU–SPD | ||
2017 | 14,027,804 | 30.2 (#1) | 12,445,832 | 26.8 (#1) | 54 | CSU–SPD | ||
2021 | 아르민 라셰트 | 10,445,571 | 22.5 (#2) | 8,770,980 | 18.9 (#2) | 49 | 야당 |
'''유럽 의회 선거'''
선거 | 득표 | 득표율 | 의석 | 증감 |
---|---|---|---|---|
1979년 | 10,883,085 | 39.0% (2위) | 33 / 81 | |
1984년 | 9,308,411 | 37.5% (1위) | 32 / 81 | |
1989년 | 8,332,846 | 29.5% (2위) | 24 / 81 | 8 |
1994년 | 11,346,073 | 32.0% (2위) | 39 / 99 | |
1999년 | 10,628,224 | 39.2% (1위) | 43 / 99 | 4 |
2004년 | 9,412,009 | 36.5% (1위) | 40 / 99 | 3 |
2009년 | 8,071,391 | 30.6% (1위) | 34 / 99 | 6 |
2014년 | 8,807,500 | 30.0% (1위) | 29 / 96 | 5 |
2019년 | 8,437,093 | 22.6% (1위) | 23 / 96 | 6 |
5. 1. 독일 연방의회 선거
선거 | 대표 | 소선거구 | 정당비례 | 의석 | +/– | 집권 여부 | ||
---|---|---|---|---|---|---|---|---|
득표 | % | 득표 | % | |||||
1949 | 콘라트 아데나워 | colspan="2" bgcolor="lightgrey"| | 5,978,636 | 25.2 (#1) | bgcolor="lightgrey"| | CSU–FDP–DP | ||
1953 | 9,577,659 | 34.8 (#1) | 10,016,594 | 36.4 (#1) | 82 | CSU–FDP–DP | ||
1957 | 11,975,400 | 39.7 (#1) | 11,875,339 | 39.7 (#1) | 25 | CSU–DP | ||
1961 | 11,622,995 | 36.3 (#2) | 11,283,901 | 35.8 (#2) | 21 | CSU–FDP | ||
1965 | 12,631,319 | 38.9 (#2) | 12,387,562 | 38.0 (#2) | rowspan=2| | 1 | CSU–FDP | |
CSU–SPD | ||||||||
1969 | 쿠르트 게오르크 키징거 | 12,137,148 | 37.1 (#2) | 12,079,535 | 36.6 (#2) | 1 | 야당 | |
1972 | 라이너 바르첼 | 13,304,813 | 35.7 (#2) | 13,190,837 | 35.2 (#2) | 15 | 야당 | |
1976 | 헬무트 콜 | 14,423,157 | 38.3 (#2) | 14,367,302 | 38.0 (#2) | 15 | 야당 | |
1980 | 13,467,207 | 35.6 (#2) | 12,989,200 | 34.2 (#2) | rowspan=2| | 16 | 야당 | |
CSU–FDP | ||||||||
1983 | 15,943,460 | 41.0 (#1) | 14,857,680 | 38.1 (#2) | 17 | CSU–FDP | ||
1987 | 14,168,527 | 37.5 (#2) | 13,045,745 | 34.4 (#2) | 17 | CSU–FDP | ||
1990 | 17,707,574 | 38.3 (#1) | 17,055,116 | 36.7 (#1) | 83 | CSU–FDP | ||
1994 | 17,473,325 | 37.2 (#2) | 16,089,960 | 34.2 (#2) | 24 | CSU–FDP | ||
1998 | 15,854,215 | 32.2 (#2) | 14,004,908 | 28.4 (#2) | 46 | 야당 | ||
2002 | 앙겔라 메르켈 | 15,336,512 | 32.1 (#2) | 14,167,561 | 29.5 (#2) | 8 | 야당 | |
2005 | 15,390,950 | 32.6 (#2) | 13,136,740 | 27.8 (#2) | 10 | CSU–SPD | ||
2009 | 13,856,674 | 32.0 (#1) | 11,828,277 | 27.3 (#1) | 14 | CSU–FDP | ||
2013 | 16,233,642 | 37.2 (#1) | 14,921,877 | 34.1 (#1) | 61 | CSU–SPD | ||
2017 | 14,027,804 | 30.2 (#1) | 12,445,832 | 26.8 (#1) | 54 | CSU–SPD | ||
2021 | 아르민 라셰트 | 10,445,571 | 22.5 (#2) | 8,770,980 | 18.9 (#2) | 49 | 야당 |
5. 2. 유럽 의회 선거
선거 | 득표 | 득표율 | 의석 | 증감 |
---|---|---|---|---|
1979년 | 10,883,085 | 39.0% (2위) | 33 / 81 | |
1984년 | 9,308,411 | 37.5% (1위) | 32 / 81 | 1 |
1989년 | 8,332,846 | 29.5% (2위) | 24 / 81 | 8 |
1994년 | 11,346,073 | 32.0% (2위) | 39 / 99 | 15 |
1999년 | 10,628,224 | 39.2% (1위) | 43 / 99 | 4 |
2004년 | 9,412,009 | 36.5% (1위) | 40 / 99 | 3 |
2009년 | 8,071,391 | 30.6% (1위) | 34 / 99 | 6 |
2014년 | 8,807,500 | 30.0% (1위) | 29 / 96 | 5 |
2019년 | 8,437,093 | 22.6% (1위) | 23 / 96 | 6 |
6. 역대 당 대표
의장 | 기간 |
---|---|
콘라트 아데나워 | 1950–1966 |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 1966–1967 |
쿠르트 게오르크 키징거 | 1967–1971 |
라이너 바르첼 | 1971–1973 |
헬무트 콜 | 1973–1998 |
볼프강 쇼이블레 | 1998–2000 |
앙겔라 메르켈 | 2000–2018 |
안네그레트 크람프카렌바우어 | 2018–2021 |
아르민 라셰트 | 2021–2022 |
프리드리히 메르츠 | 2022- |
7. CDU/CSU 연립 내각 역대 의장
의장 | 기간 |
---|---|
하인리히 폰 브레타노 디 트레메조 | 1949–1955 |
하인리히 크로네 | 1955–1961 |
하인리히 폰 브레타노 디 트레메조 | 1961–1964 |
라이너 바르첼 | 1964–1973 |
카를 카르스텐스 | 1973–1976 |
헬무트 콜 | 1976–1982 |
알프레드 드레거 | 1982–1991 |
볼프강 쇼이블레 | 1991–2000 |
프리드리히 메르츠 | 2000–2002 |
앙겔라 메르켈 | 2002–2005 |
볼커 카우더 | 2005–2018 |
랄프 브링카우스 | 2018–현재 |
8. CDU 출신의 역대 독일 총리
독일 총리 | 재임 기간 |
---|---|
콘라트 아데나워 | 1949–1963 |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 1963–1966 |
쿠르트 게오르크 키징거 | 1966–1969 |
헬무트 콜 | 1982–1998 |
앙겔라 메르켈 | 2005–2021 |
참조
[1]
서적
60 Jahre Junge Union Deutschlands
Berlin
[2]
웹사이트
Herbe Verluste: SPD und CDU sterben die Parteimitglieder weg
https://www.merkur.d[...]
2023-02-00
[3]
웹사이트
CDU Corporate Design Manual
https://ci.cdu.de/si[...]
2023-09-00
[4]
서적
Two Crises, Two Consolidations? Christian Democracy in Germany
Leuven University Press
[5]
서적
Between Concentration Movement and People's Party: The Christian Democratic Union in Germany
Routledge
[6]
뉴스
Merkel's conservatives present election manifesto
https://www.dw.com/e[...]
2021-06-21
[7]
뉴스
'New direction': How Berlin is getting its first conservative-led government in decades
https://www.thelocal[...]
2023-04-25
[8]
서적
The German New Right AfD, PEGIDA and the Re-Imagining of National Identity
https://books.google[...]
Hurst
2020-03-00
[9]
서적
Decentralising Policy Responsibility and Political Authority in Germany
https://books.googl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3-04-30
[10]
백과사전
Christian Democratic Union (CDU)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5-12-16
[11]
학술지
From 'Sleeping Giant' to Left–Right Politicization? National Party Competition on the EU and the Euro Crisis
2014-11-00
[12]
서적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olicy in Europe: Why Politics – and the Centre-Right – Matter
Routledge
[13]
서적
Parties and the Party System
Palgrave Macmillan
[14]
서적
Multi-Level Party Politics in Western Europe
Palgrave Macmillan
[15]
서적
European Politics in Transition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2-08-17
[16]
서적
The CDU and the Politics of Gender in Germany: Bringing Women to the Par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8-17
[17]
뉴스
Friedrich Merz takes over as leader of Germany's Christian Democrats
https://www.economis[...]
2022-01-22
[18]
서적
Party Politics and Social Welfare: Comparing Christian and Social Democracy in Austria, Germany and the Netherlands
Edward Elgar
[19]
서적
Konservatismus
VS Verlag
[20]
웹사이트
Germany
https://europeelects[...]
[21]
뉴스
Where German parties stand on Europe
https://www.politico[...]
2017-08-28
[22]
웹사이트
Das Corporate Design der CDU Deutschlands
https://www.cdu.de/s[...]
2017-10-17
[23]
서적
Conservative Moments: Reading Conservative Texts
Bloomsbury
[24]
간행물
The Rise and Fall of Christian Democracy in Europe
2007-09-00
[25]
뉴스
Konrad Adenauer (1876–1967)
https://www.bbc.co.u[...]
[26]
뉴스
Merkel named as German chancellor
http://news.bbc.co.u[...]
2005-10-10
[27]
뉴스
German parties back new coalition
http://news.bbc.co.u[...]
2005-11-14
[28]
뉴스
Merkel becomes German chancellor
http://news.bbc.co.u[...]
2005-11-22
[29]
서적
Zur Zukunft der Volksparteien: Das Parteiensystem untr den Bedingungen zunehmender Fragmentierung
Konrad Adenauer Foundation
[30]
서적
Wandel und Fortschritt in den Christdemokratien Europas: Christdemokratische Elegien angesichts fragiler volksparteilicher Symmetrien
Springer VS
[31]
서적
Politik im Schatten der Krise: Eine Bilanz der Regierung Merkel 2009–2013
Springer VS
[32]
서적
Die (Massen-)Medien im Wahlkampf
Springer VS
[33]
서적
Politik im Schatten der Krise: Eine Bilanz der Regierung Merkel 2009–2013
Springer VS
[34]
서적
Der Kompass der CDU: Analyse der Grundsatz- und Wahlprogramme von Adenauer bis Merkel
Springer VS
[35]
웹사이트
9. Franz Josef Strauß – Rechts von der CSU
https://www.swr.de/w[...]
2018-10-15
[36]
뉴스
Auch ein Landtagsabgeordneter wechselt AfD zählt 2800 Überläufer
https://www.n-tv.de/[...]
2013-05-05
[37]
뉴스
Analysis {{!}} Why Angela Merkel, known for embracing liberal values, voted against same-sex marriage
https://www.washingt[...]
2021-10-15
[38]
웹사이트
Angela Merkel to step down in 2021
https://www.bbc.com/[...]
2018-10-29
[39]
웹사이트
ARD-DeutschlandTREND Januar 2019
https://www.tagessch[...]
2019-11-09
[40]
웹사이트
Kramp-Karrenbauer so unbeliebt wie nie
https://www.tagessch[...]
2019-11-09
[41]
웹사이트
Union verliert, Zugewinn für Linke
https://www.zdf.de/n[...]
2019-11-09
[42]
뉴스
MEPs back von der Leyen as EU Commission head
https://www.bbc.com/[...]
2019-07-16
[43]
웹사이트
Kramp-Karrenbauer: Entscheidung ist seit geraumer Zeit in mir gereift
https://www.handelsb[...]
2020-02-10
[44]
웹사이트
So rutschte die CDU in die Krise
https://www.spiegel.[...]
2020-02-10
[45]
웹사이트
Merkel heir Kramp-Karrenbauer to step down as CDU leader
https://www.politico[...]
2020-02-10
[46]
웹사이트
Merkel's CDU to decide new leader on April 25
https://www.dw.com/e[...]
2020-02-24
[47]
뉴스
Armin Laschet, Merkel ally, elected head of Germany's CDU party
https://www.upi.com/[...]
2020-01-16
[48]
웹사이트
Germany's Armin Laschet signals his departure as CDU leader
https://www.politico[...]
2021-10-07
[49]
뉴스
Germany's CDU party elects Friedrich Merz, 66, new leader
https://www.reuters.[...]
2021-12-17
[50]
웹사이트
Digitale Wahlen
https://www.cdu-part[...]
[51]
웹사이트
"Schnellstmöglich": Union bereitet Rückkehr zur Atomkraft vor
https://www.fr.de/po[...]
Frankfurter Rundfunk
2024-10-11
[52]
간행물
Reale Regierungsopposition gegen gefühlte Oppositionsregierung
http://www.kas.de/wf[...]
2005-12
[53]
웹사이트
Christlich Demokratische Union Deutschlands
https://www.bpb.de/t[...]
2024-05-07
[54]
웹사이트
Präsidium und Bundesvorstand der CDU Deutschlands zum Tod von Walter Lübcke
https://www.cdu.de/a[...]
2019-06-24
[55]
웹사이트
Abgrenzung zur AfD: So bröckelt die CDU-Brandmauer
https://www.zdf.de/n[...]
2023-09-20
[56]
웹사이트
AfD und CDU: Im Osten viel Zustimmung für Zusammenarbeit
https://www.dw.com/d[...]
2023-08-03
[57]
웹사이트
Asylpolitik in Bautzen: Nach dem Tabubruch
https://www.tagessch[...]
[58]
뉴스
Germany's opposition leader faces criticism over his comments on cooperation with the far right
https://apnews.com/a[...]
2023-07-24
[59]
웹사이트
The 'firewall' to Germany's far right is crumbling
https://www.dw.com/e[...]
2023-07-23
[60]
뉴스
Deutschland kippt nach rechts
https://www.republik[...]
2023-12-13
[61]
웹사이트
für mehr politisches Engagement in der CDU
https://www.cdu.de/a[...]
2023-07-04
[62]
웹사이트
2010 Annual Report
http://www.kas.de/up[...]
[63]
웹사이트
Gründung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http://www.dieterwun[...]
2013-09-23
[64]
뉴스
'Merkel diamond' takes centre stage in German election campaign
https://www.theguard[...]
2013-09-03
[65]
웹사이트
Christian Democratic Union | History, Policies, & Structur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66]
웹사이트
CDU - Bundesgeschäftsstelle Christlich-Demokratische Union Deutschlands :: Partei
https://www.berlin.d[...]
ベルリン
[67]
웹사이트
Die CDU in der EVP
https://www.cdu.de/e[...]
ドイツキリスト教民主同盟
[68]
뉴스
CDU und SPD verlieren Mitglieder - Grüne legen deutlich zu
https://www.zeit.de/[...]
ディー・ツァイト
2020-01-16
[69]
뉴스
メルケル首相4期目なるか ~社会民主党・党員投票の行方~ 国際報道2018 特集
https://www.nhk.or.j[...]
日本放送協会
2018-03-01
[70]
웹사이트
キリスト教民主同盟
https://kotobank.jp/[...]
[71]
웹사이트
GERMANY
http://www.parties-a[...]
2020-11-15
[72]
웹사이트
キリスト教民主主義同盟
https://kotobank.jp/[...]
2018-09-07
[73]
웹사이트
キリスト教民主主義同盟
https://kotobank.jp/[...]
2018-09-07
[74]
서적
Wilhelm Röpke (1899–1966): A Liberal Political Economist and Conservative Social Philosopher
https://books.google[...]
Springer
2020-11-15
[75]
웹사이트
Germany
https://europeelects[...]
2020-11-15
[76]
뉴스
ドイツ連邦議会選 メルケル氏が楽勝しなかった場合どうなる
https://www.bbc.com/[...]
英国放送協会
2017-09-19
[77]
뉴스
Germany's political parties CDU, CSU, SPD, AfD, FDP, Left party, Greens - what you need to know
https://www.dw.com/e[...]
ドイチェ・ヴェレ
2019-06-07
[78]
뉴스
How the colour palette of Germany’s political system works
https://www.economis[...]
エコノミスト・グループ
2016-03-15
[79]
웹사이트
Das Corporate Design der CDU Deutschlands
https://www.cdu.de/s[...]
ドイツキリスト教民主同盟
2017-10-15
[80]
웹사이트
Die Basiselemente des Erscheinungsbildes der CDU
https://www.designta[...]
[81]
웹사이트
Orange as a political colour
http://international[...]
25th International Congress of Vexillology, 旗章学協会国際連盟
[82]
웹사이트
Members | International Democrat Union
https://www.idu.org/[...]
国際民主同盟
[83]
간행물
Grundsatzprogramm der CDU Deutschlands
2007-12-03
[84]
서적
Europeanisation and Party Politics: How the EU affects Domestic Actors, Patterns and Systems
https://books.google[...]
ECPR Press
[85]
기타
[86]
웹사이트
ドイツとは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の解説 § 政治・外交・軍事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
[87]
웹사이트
http://www.grundsatz[...]
[88]
간행물
Grundsatzprogramm
[89]
간행물
Grundsatzprogramm
[90]
간행물
Grundsatzprogramm
[91]
간행물
Grundsatzprogramm
[92]
웹사이트
Die CDU - die deutsche Europapartei.
http://www.cdu.de/po[...]
[93]
웹사이트
60 Jahre CDU Verantwortung für Deutschland und Europa
http://www.kas.de/wf[...]
Günter Buchstab, Konrad Adenauerstiftung
2011-10-15
[94]
웹사이트
Helmut Kohl
http://helmut-kohl.k[...]
Konrad-Adenauer-Stiftung
[95]
웹사이트
Für ein starkes und stabiles Europa.
http://elmarbrok.de/[...]
[96]
웹사이트
Starkes Europa – Gute Zukunft für Deutschland - Beschluss des 24. Parteitages der CDU Deutschlands
http://www.leipzig20[...]
Christlich Demokratische Union Deutschlands
2011-11-15
[97]
뉴스
メルケル独首相、2021年に首相退任と表明 地方選連敗で
https://www.bbc.com/[...]
2018-10-29
[98]
뉴스
ドイツ与党、クランプカレンバウアー氏を党首に選出 メルケル氏後継
https://www.cnn.co.j[...]
2018-12-08
[99]
뉴스
独与党CDU、新党首にラシェット氏 メルケル後継の軸に
https://www.nikkei.c[...]
2021-01-16
[100]
뉴스
ドイツ総選挙、16年ぶり社民党が第1党 連立行方は混沌
https://www.nikkei.c[...]
2021-09-27
[101]
뉴스
独最大野党、新党首にメルケル氏の元政敵 党首選「三度目の正直」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2-01-03
[102]
웹사이트
Parteimitglieder nach Bundesländern
http://www.bpb.de/po[...]
連邦政治教育センター
2020-08-26
[103]
웹인용
The database about parliamentary elections and political parties in Europe
http://www.parties-a[...]
Parties-and-elections.eu
2012-06-03
[104]
웹인용
Germany
https://europeelects[...]
2020-11-13
[105]
저널
Politicizing migration: opportunity or liability for the centre-right in Germany?
[10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cdu.de/
2006-09-2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